카테고리 없음

[용어 사전] 하드포크란 무엇일까?

주니스타 2022. 2. 6. 23:13

썸네일

 

안녕하세요, 주니스타입니다.

오늘은 저번에 말씀드렸듯 하드포크에 대해 다뤄볼 겁니다.

하드포크에 대해 알기 위해 먼저 알아야 할 것이 있다고 전 포스팅에서 말했습니다.

바로 블록체인입니다.

▼2022년 2월 5일▼

https://junistar.tistory.com/79

 

[용어 사전] 블록체인이란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주니스타입니다. 오늘은 블록체인에 대한 개념을 알아볼 것입니다. 2022년 2월 3일 포스팅에서 하드포크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하는 글을 쓰기로 했습니다. ▼2022년 2월 3일▼ https://ju

junistar.tistory.com

 


 

■ 하드포크

 

하드포크(Hard Fork)는 블록체인 프로토콜이 어느 한 시점에서 급격하게 변경되는 것을 뜻한다.

블록체인이 두 갈래로 나뉘는 것이다.

개발자들은 이전 버전의 프로토콜에서 심각한 보안상 취약점을 발견했을 때, 혹은 소프트웨어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개선하려 할 때 하드포크를 한다.

하드포크로 인해 신규 암호화폐가 만들어지기도 하는데, 이는 암호화폐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친다.

 

■ 하드포크 개념

 

'하드포크(Hard Fork)'는 블록체인 프로토콜이 어느 한 시점에서 급격하게 변경되는 것을 뜻한다. 

하드포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블록체인(Blockchain)'에 대한 개념 정리가 필요하다.

블록체인은 일종의 '신뢰 프로토콜'이다. 블록체인에서 이뤄지는 모든 거래 데이터는 공공 거래장부에 기록된다.

그리고 이것은 모든 참여자의 컴퓨터(노드)에 분산 저장된다.

거래가 이뤄질 때마다 블록(Block)이 생성되고, 거래 내역이 담긴 블록들은 잇따라 연결(Chain)된다.

어느 한 노드의 데이터가 위·변조돼도 다른 노드에 해당 데이터가 남아있어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출처: 인베스토피디아

 

하드포크는 잇따라 연결된 체인이 어느 한 시점에서 두 갈래로 쪼개지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개발자들이 기존 소프트웨어 소스코드를 통째로 복사해 독립적인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면 하드포크가 발생한다.

이제 두 갈래의 체인이 있다.

기존 체인과 하드포크로 생긴 새로운 체인이다.

새로운 체인의 경로를 따를 참여자는 소프트웨어를 최신으로 업그레이드해야 한다.

하드포크를 일종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라고 설명할 수도 있다.

 


 

■ 하드포크의 배경

 

개발자들은 이전 버전의 소프트웨어에서 심각한 보안상 취약점을 발견했을 때, 혹은 소프트웨어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개선하려 할 때 하드포크를 한다.

보안상 취약점이 발견돼 하드포크가 일어난 대표적인 예가 이더리움 하드포크다.

2016년 6월 17일 해커들이 이더리움 보안의 취약점을 찾아내, 이더리움 코인인 이더(ETH) 약 360만 개를 해킹해 자신들의 전자지갑으로 옮겨버렸다.

당시 이더 가격으로 600억 원어치가 도난당한 사건이다.

해킹이 발생하자 이더의 가격은 급락했다.

이더리움재단은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2016년 7월 20일 프로토콜을 업그레이드했다.

즉, 하드포크를 진행해 성공했다.

하드포크의 성공 여부는 참여자들의 과반수 지지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당시 이더리움 블록체인 참여자의 85% 이상이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해 하드포크로 생긴 새로운 갈래가 공식 이더리움 블록체인이 된 것이다.

이 사건은 이더리움클래식(ETC)의 등장 배경이기도 하다.

당시 하드포크에 동의하지 않은 개발자 그룹이 있었는데 이들은 따로 기존 갈래에 잔류했다.

그리고 하드포크에 성공한 지 3일 뒤인 7월 24일 해외 암호화폐 거래소인 폴로닉스에 이더리움클래식(ETC)을 기습 상장했다.

소프트웨어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 개선하기 위한 하드포크의 예도 살펴보자.

앞서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예로 들었기에 이번 역시 이더리움의 사례를 들겠다.

2017년 10월 16일 이더리움재단이 '비잔티움 하드포크'를 진행해성공했다.

이 성공으로 이더리움은 4단계 개발 로드맵 중 3단계에 해당하는 '메트로폴리스'(Metropolis) 단계에 진입했다.

 

출처: 비탈릭 부테린 트위터 계정 (이더리움 창시자인 비탈릭 부테린이 2017년 10월 15일(현지시간) 하드포크에 성공한 후, 성공을 자축하는 사진을 올렸다.)

 


 

■ 투자 관점에서 본 하드포크

 

암호화폐 투자자들에게 하드포크는 그 내용에 따라 '호재'로 작용할 수도, '악재'로 작용할 수도 있다.

실제 하드포크가 일어나기 전까지 그 영향을 짐작하기 어렵기에 불확실성으로 인한 암호화폐 가격 하락이 발생할 수 있다.

불확실성으로 인한 가격 하락은 대개 하드포크로 체인이 쪼개지고 난 후 불확실성이 사라지면 회복된다.

하드포크로 인해 새로운 암호화폐가 만들어지면 기존 체인 참여자들에게 '코인 배당'이 돌아간다는 점에서 보면, 하드포크는 '호재'로 작용한다.

예를 들어, 2017년 8월 1일 비트코인 하드포크로 비트코인캐시(BCH)라는 새로운 암호화폐가 생겼다.

이때 하드포크 이전 비트코인 소유자들은 보유 코인 수와 동일한 수의 비트코인캐시를 갖게 됐다.

 

출처: 비트코인캐시 공식 홈페이지 (2017년 8월 1일 비트코인 하드포크로 비트코인캐시이 만들어졌다.)

 

출처: 용어로 보는 IT

 


 

포크는 한 곳에서 분기가 발생하는 것을 뜻합니다.

블록체인상에서 사용되는 포크의 의미는 업그레이드입니다.

그럼 하드포크는 무엇일까요?

하드포크는 이전에 있던 버전과 호환할 수 없는 업그레이드입니다.

예시로 비트코인과 비트코인캐시가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기존 체인이고 비트코인캐시는 새로운 체인입니다.

두 개가 따로 나뉘어져 서로 호환이 되지 않아, 새로운 체인인 비트코인캐시를 사용하려면 업그레이드를 해야합니다.

 


 

다들 하드포크에 대해 이해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끝까지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